중위소득계산기
지원금이나 복지 혜택에 대한 공고문을 보면 “기준 중위소득 몇%이하 신청 가능” 이하는 문구를 보신 적이 있으시죠?
중위소득은 기초생활수급, 차상위, 교육.의료.주거 급여 등의 대상자 선정의 기준이 되는데요
모의 계산기를 통해 쉽게 확인할 수 있으니 나의 기준 중위소득은 몇 프로에 인지 빠르게 확인해보세요.
기준 중위소득을 정하는 이유
중위소득은 평균 소득과는 다른 개념으로 우리나라 가구의 소득을 기준으로 나열했을 때 가장 가운데에 있는 중간 값을 의미합니다.
소득 구간 별 인구 수와 중위소득을 기준삼아 필요한 복지 혜택을 마련하고 조건에 맞게 지원을 해줌으로써 소득 불평등 문제를 완화하기 위한 것입니다.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40%, 50%, 80%, 120% 이하 등 기준 중위소득 몇%라는 조건이 있습니다.
따라서 나의 조건에 맞는 혜택을 신청하기 위해 나는 몇%에 해당되는지 미리 알고 있어야 합니다.
중위소득계산기의 필요성
중위소득계산기를 통해 나의 중위소득을 알고 있어야 되는 이유는 아래에 예시로 보여주듯 복지정책 신청을 위한 조건이 있기 때문입니다.
이는 구간 별로 나누어 소득 계층을 파악하여 어떤 소득 계층에 정책 지원이 필요한지 파악할 수 있도록 구분지어 놓은 것입니다.
보건복지부 장관이 고시하며 기초생활보장제도 및 복지사업을 위한 수급자를 선정할 때 기준이되며
생계급여는 30%(4인 가구 기준 1,620,289원), 의료급여는 40%(4인가구 기준 2,160,386원)이하 가구에 지급됩니다.
이 외에도 다양한 복지정책의 선정 기준으로 활용되므로 중위소득계산기를 통해 미리 나의 기준중위소득을 알아두면 편리합니다.
2023년 기준 중위소득
역대 최고 증가율로 인상의 의의
2023년도는 맞춤형 급여체계로 전환된 2015년 이후 최대 폭으로 인상되어 4인 가구 기준 5,400,964원인데요, 작년 기준 5.47% 인상된 금액입니다. 이로 이해 생계급여 기준으로 6,000억원 이상의 재정이 추가될 것이라고 합니다.
✅2022년 4인 기준 중위소득 : 5,121,080원
✅2023년 4인 기준 중위소득 : 5,400,964원
저소득층의 생활이 한층 나아지기를 바란다.조규홍 복지부차관
인플레이션에 따른 물가 상승과 경제성장으로 인한 GDP증가 등으로 인해 소득이 증가하게 되면 중위소득도 인상되는데요, 저소득층 뿐 아니라 최근 몇 년 동안 지속된 코로나 19와 저하된 경제성장 등을 고려하여 2020년에 개편된 산정받식을 반영하였음에 그 의의가 있습니다.
마무리
지금까지 중위소득에 대해 알아보고 쉽게 계산하는 방법을 안내했는데요
모의 계산기를 활용해 나는 몇 프로에 해당하는지 확인해 보고, 정부에서 시행 중인 다양한 복지 혜택 및 지원 사항을 찾아 신청하여 경제적 도움을 받으시길 바랍니다.